해치백의 특징을 알아보고 판단해보자.
해치백은 왜건이라는 형태와 비슷한 모습을 이루고있다. 짧은형태의 자동차라 부르기도 하고 짝수단위의 도어가 붙은 세단과 달리 해치백은 트렁크 도어를 1개도어로 인정하여 부르는 차량이라고 할수도 있다. 해치백은 3도어, 5도어로 구분하고 있으며 홀수단위의 도어로 구성이된다.
세단은 짝수단위로 설정이 되어 있다. 물론 SUV나 MPV 차량도 후방 해치를 적용하고 있지만 규격상으로는 승용차로 취급되지 않는다. 하지만 해치백은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트렁크 도어틑 C필러에서 연결시키기 때문에 D필러로 내려오는 왜건과 비교해 효율성이 떨어진다.
트렁크 룸에는 창문이 달려있는 경우도 있는데 객실과 동일한 뒷자리의 시트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불편한 경우가 많다. 왜건과 비교를 굳이하자면 트렁크 룸은 길이가 짧고 적재량 또한 적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왜건이 출시되고 이후 더이상 판매율이 올라가지 않는다고 한다. 물론 해치백은 운행 및 주차를 할때 장점이 있지만 오버행이 짧다는 이유에서 오는것 뿐이다.
해치백의 특징은 짐을 싣고다니며 사람도 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왜건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데 트렁크 룸을 없앤 것이 해치백이라 할 수 있다. 오버행이 프런트보다 짧게 나와 트렁크 무게를 줄이고 전체 차량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강화시키려 했다.
해치부분은 구조 강화로 인해 차이가 없지만 기아 포르테의 경우 중량이 늘어나는 경우도 발생한다. 해치백은 세단과 다르게 연비와 후방안정성을 자랑한다고 하지만 세단에는 미치지 못한다. 해치백은 오버행에 무게가 감소하는데 반해 운동성능이 강력하다.
엔진을 동일하게 장착해도 코너링이나 속도는 유리하다 단순히 해치백이라는 특성때문인데 이것으로 인해 새로운 장르가 개척되는 시기도 있었다. 해치백은 실용적인 면이 우수하다고 하지만 세단에 비교하면 트렁크길이도 짧고 분리되어 있지 않아 장점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이 단점을 부르기도 하는데 트렁크에서 나는 소음과 후륜 장치에서 다는 잡소리가 많이 유입된다는 것이다. 해치백은 트렁크 용량이 작아서 불편하다고 하지만 실제 수치를 보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세단보다 넓다고 한다.
단순히 길이가 짧아서 이러한 편견이 생기는데 의외로 차이가 크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앞서 말한것처럼 장점이 단점으로 작용하게 되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수치적인 용량을 동일하게 하면 뒷자리는 포기해야하고 뒷시야도 포기해야한다.
화물을 옆으로 쌓는것이 아니라 올려서 쌓아야하기 때문이다. 즉 수치는 동일하지만 실제적인 가치는 떨어진다. 화물끼리 쌓을 수 있다는것이 장점이 될수도 있지만 뒷시야를 가려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킬수도 있다.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면 후륜시 매우 위험하다.
이러한 트렁크 설계는 할 수 있지만 트렁크 용량을 더 크게 만들기 위해선 해치백의 형태가 무너지게 된다. 구조상 세단에 비해 불리하다. 그래서 왜건이 등장한것이다. 보통 해치백 뒷자리를 폴딩시켜 적재공간을 늘린다고 하지만 정해진 트렁크 용량은 더 확보되지 않는다. 위로 쌓아야 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뒷자리를 희생하여 해치백은 2인승이 되고 더이상 해치백의 실용성을 따질 수 없게 된다. 게다가 2열부분까지 짐을 실을 경우 내리막길이나 오르막길을 운행할때 매우 위험하다. 브레이크를 밟아도 밀리는 경우가 허다하고 안전에 큰 위협을 주게된다.